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석천암

본문

한자1
[石泉庵]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남양주군 별내면 화접리 불암산에 있는 사찰. 중간에 폐허였는데 1922년경에 중창하였다. 석천사라고도 한다. 2)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대둔산에 있는 사찰이다. 3) 경상북도 선산군에 있던 사찰. 석천사라고도 한다. 4) 경상북도 문경시 농암면 대아산에 있는 사찰이다. 5) 함경남도 안변군 백운산에 있던 사찰이다. 6)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던 사찰. 석천사라고도 한다. 7) 전라남도 장흥군 천관산 천관사 오공암(蜈蚣庵) 동쪽에 있던 사찰이다. 8)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에 있는 사찰로 대야산(大野山: 大莪山으로도 불린다) 서쪽 산록에 있다. 구전에 의하면 ‘바위 밑에서 약수가 나온다 하여 석천암으로 부른다.’라는 유래가 있으며, 일설에는 고려 말 나옹대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현재의 석천암은 보덕암에서 석천암으로 이름을 바꾼 사찰이다. 6·25전쟁 때 법당이 소실되고 1965년 수해로 폐사된 것을 석천암 위의 보덕암이 1985년 화재로 소실되자 신축하며 석천암으로 개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