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설두천동원오삼가염송집
본문
한자1
[禪門雪竇天童圜悟三家拈頌集]
한자2
ⓢ
ⓟ
ⓣ
뜻(설명)
1권 1책. 고려시대의 구암(龜庵)이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총 1,463칙 가운데 설두·천동·원오의 세 선사가 붙인 염(拈)과 송(頌)을 모은 책. 『선문염송집』 30권을 6권으로 편집하고, 총 496칙을 『선문염송집』의 순서대로 수록하였다. 세 선사의 염과 송 이외에 상당과 소참 등의 형식도 있지만 염과 송으로 공안에 대한 평가를 대표하므로 이렇게 부른다. 설두에게는 『송고(頌古)』 100칙이 있어 『벽암록(碧巖錄)』의 근간이 되었고, 원오는 『벽암록』 각 칙에 수시(垂示)를 쓰고, 본칙과 설두의 송(頌) 각 구절에 착어(著語)를 달고 평창(評唱)도 붙였다. 천동은 100칙의 공안을 가려내어 송을 붙였는데, 이것이 『종 용록(從容錄)』 100칙의 토대가 되었다. 이들 세 선사는 공안집 형성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므로 이들을 별도로 선별하여 편집한 것으로 보인다. 1246년(고종 33)에 최이(崔怡)의 수복(壽福)을 빌기 위해 간행. 1464년(세조 10) 간경도감에서 중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