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유식론
본문
한자1
[成唯識論]
한자2
ⓢ
ⓟ
ⓣ
뜻(설명)
10권. K614, T1585.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한역하였다. 세친(世親)의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을 주석한 것. 세친 문하의 십대논사(十大論師)의 주석을 호법의 설로 비판 종합하여 659년(현경 4)에 한역한 것이다. 아(我)와 법(法)에 대한 두 가지 집착을 제거하여 번뇌(煩惱)와 소지(所知)의 두 가지 장애를 끊도록 하고 모든 법이 유식임을 밝힌 논서이다. 8식(八識)을 자세히 말하여 인식의 과정을 명백히 하고 또 실천적 수행의 5계위(五階位)를 말하고 있다. 중국 법상종(法相宗)의 중요 전적(典籍)이다. 주석서로는 규기(窺基)의 『성유식론술기(成唯識論述記)』 20권, 태현(太賢)의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 5권 또는 10권, 원효(元曉)의 『성유식론종요(成唯識論宗要)』 1권 등이 있다. ⇨ 유식삼십론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