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세종시 연화사칠존불비상

본문

한자1
[世宗市蓮花寺七尊佛碑像]
한자2
뜻(설명)
세종특별자치시 서면 월하리 1047에 위치하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유물은 충청남도 연기군 일대에서 발견된 일련의 비상(碑像: 비석 모양의 돌에 불상을 조각하거나 글을 적은 것)과 같은 계열에 속하는 작품으로 반타원형의 곱돌로 만들었다. 연꽃무늬가 새겨진 마름모꼴의 돌 표면에 본존 여래상을 중심으로 칠존불(七尊佛)이 조각되어 있다. 상단에 옷 주름이 새겨진 네모난 대좌 앞면에는 두툼한 연꽃 봉오리를 중심으로 좌우에서 연 줄기가 피어오르고 있고, 끝에는 사자가 웅크리고 앉아 있다. 연 줄기 위에 앉아 있는 본존불 좌우에는 협시보살이 서 있으며, 본존과 협시보살 사이에는 상체만 내밀고 있는 나한상이, 밖으로는 인왕상이 사자 위에 서 있는 모습이다. 본존불은 얼굴이 소실되었으나 당당한 신체에 몸의 굴곡이 드러나지 않게 양어깨를 감싼 두꺼운 옷을 입고 있다. 이는 다른 비상들과 비슷한 모습으로 삼국시대의 조각 전통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본존불과 좌우 협시보살은 각각 원형의 머리 광배를 가지고 있으면서 배[舟] 모양의 광배에 포함되어 있다. 광배에는 연꽃무늬와 불꽃무늬, 7구의 작은 부처가 새겨져 있다. 삼국시대 조각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부분적으로 새로운 요소가 가미된 이 석상은 조각 양식으로 보아 비암사와 연화사의 비상들과 동시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이며, 연대는 678년(문무왕 18)으로 추정된다. 특히 광배의 연꽃무늬나 협시보살의 가늘고 긴 신체 등에서 백제 양식을 엿볼 수 있어 백제 유민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