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실지갈라경
본문
한자1
[蘇悉地羯羅經]
한자2
ⓢ
Susiddhikaramahātantrasādhano-pāyika-paṭala
ⓟ
ⓣ
뜻(설명)
3권. K432, T893. 당(唐)나라 때 선무외(善無畏)가 726년에 한역하였다. 줄여서 『소실지경(蘇悉地經)』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묘성취법(妙成就法)』·『묘성취작업경(妙成就作業經)』이라고도 한다. 밀교의 수행법인 진언과 관행 절차를 상세히 설한 경전으로 진언의 가장 수승하고 미묘한 법칙과 지송(持誦)·관정(灌頂)·기청(祈請)·호마(護摩)·성취(成就)·시분(時分) 등을 밝히고 있다. 여기서 ‘소실지’는 뛰어난 성취를 뜻하고, ‘갈라’는 작법을 의미한다. 그래서 소실지갈라는 ‘묘성취작업’이라고 번역되며 일체 세간과 출세간의 작업을 성취하는 묘법을 뜻한다. 이 경은 『대일경(大日經)』·『금강정경(金剛頂經)』과 함께 밀교 삼부경이라 불리며, 진언종의 소의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대일경』이 태장계의 법을 설하고 『금강정경』이 금강계의 법을 설하고 있는 것에 반해 이 경전에서는 삼밀의 묘법을 성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행의 방법을 다루고 있다. 그 구성은 상·중·하 3권이 37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권은 제1 「청문품(請問品)」부터 제12 「헌식품(獻食品)」까지 12개품이며, 분노군다리(忿怒軍茶利)보살이 진언을 수지 독송하는 방법과 절차 등 약 41가지 질문을 하고, 집금강(執金剛)존자가 대답하는 형식이다. 중권은 제13 「선저가법품(扇底迦法品)」에서 제32 「광현제물품(光顯諸物品)」까지 20품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에서는 성취법을 상·중·하로 나누어 그 경지와 공양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권은 제33 「분별실지시분품(分別悉地時分品)」부터 제37 「피투성물각징법품(被偸成物却徵法品)」까지 5품이며, 기도의 효험을 돕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사항을 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