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운대사분충서난록
본문
한자1
[松雲大師奮忠紓難錄]
한자2
ⓢ
ⓟ
ⓣ
뜻(설명)
1책. 조선시대 신유한(申維翰, 1681~1752)이 임진왜란 당시 사명(四溟)대사 유정(惟政)의 활동을 기록한 책. 송운(松雲)은 유정의 호이다. 임진왜란으로부터 정유재란의 기간에 왜장인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진영을 왕래하면서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청정영중탐정기(淸正營中探情記)」 등 14편의 글과 편집자 신유한이 여러 문헌에서 발췌한 7편의 사명당 관련 글로 구성되어 있다. 신유한이 발췌한 글은 『지봉유설(芝峯類說)』·『어우야담(於于野譚)』·『순오지(旬五志)』 등에서 유래하였다. 이 책은 임진왜란 당시의 시대상과 외교 관계 등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자 가장 신빙성 있는 육전(陸戰)의 기록으로 평가된다. 유정의 5대 법손인 남붕(南鵬)의 주선으로 1738년에 신유한이 편집하고 다음 해인 1739년(영조 15) 밀양 표충사에서 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