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국사
본문
한자1
[守國寺]
한자2
ⓢ
ⓟ
ⓣ
뜻(설명)
1)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오릉로에 있는 사찰이다. 1459년(세조 5) 세조가 어린 나이로 죽은 세자 덕종(德宗)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창건하여 정인사(正因寺)라고 하였다. 1457년 8월 덕종이 죽자, 이듬해 백성에게 부담을 주지 말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검소하게 절을 지어 덕종의 넋을 위로할 것을 명하여 착공 1년 만에 완공하였다. 1471년(성종 2) 봄에 인수대비(仁粹大妃)가 이 절을 창건할 때 급히 지어서 재목이 매우 좋지 못하고 쓰임새가 정밀하지 못함을 지적하고 판내시부 이효지(李孝智)에게 중창할 것을 명하였다. 그리고 궁중에서 절약한 물품을 쌀과 베로 계산하여 내수사(內需司)에 주어 경비에 보태 쓰도록 하였다. 이때 대왕대비도 협력하여 1471년 2월 공사를 시작했는데 국민을 부역시키지 말고 노역에 대한 삯을 주도록 명하였다. 당시 서울 근교에 흉년이 들어 사람들이 앞다투어 공사에 참여하였다. 그해 10월 119칸을 완공하였다. 설계는 화엄종의 고승 설준(雪峻)이 맡았는데, 법당에서부터 방앗간에 이르기까지 조금도 어긋남이 없이 제자리를 차지하고 있었고, 단청의 아름다움이 봉선사(奉先寺)와 함께 쌍벽을 이루었다고 한다. 인수대비는 절을 운영하기 위해 미곡 100섬을 시주하였고 사찰 집기 등을 여유 있게 마련해 주었다. 1472년 사월초파일에 낙성법회(落成法會)를 실시했는데 이때 여러 대승경전(大乘經典)을 간행하였다. 이날 오색구름이 일고 이상한 향기가 절 주위에 가득했으며 서기가 하늘로 뻗쳤다고 한다. 성종도 교지를 내려 인수대비가 시주한 전답과 노비 외에도 승려들의 부역을 면제해 주어 곤란 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을 명하였다. 인수대비의 중창 이후 사찰의 역사는 잘 알 수 없지만, 그 뒤 불탔으며 남은 건물도 퇴락하여 폐사 상태에 이른 것을 1900년 초 월초거연(月初巨淵)이 고종의 도움을 받아 중창하였다. 1995년 한자용(韓慈容)이 법당 안팎을 개금한 황금보전을 신축하였다. 2) 강원도 회양군 철령 길가에 있던 사찰이다. 3) 평안북도 영변군 북성 안에 있던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