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수도

본문

한자1
[修道]
한자2
bhāvanā-mārga
뜻(설명)
삼학도(三學道: 견도·수도·무학도) 또는 5위(五位: 자량위·가행위·견도위·수도위·무학위) 중 하나. 수(修)란 반복한다는 뜻으로 견도(見道)에서 직접 인식한 진리를 반복해서 다시 인식하는 과정을 말한다. 아비달마시대에 들어와 번뇌의 성격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면서 이성적 번뇌와 정서적 번뇌가 구분된다. 이렇게 구분된 각각의 번뇌에 대응하는 대치도로 견도와 수도라는 구분이 생겼다. 견도에서는 88수면(睡眠)을 끊고 수도위에서는 나머지 10수면을 끊는다. 10수면은 삼계(三界) 9지(地)로 배대되어 모두 81품으로 나뉜다. 성자의 단계로서는 예류과를 얻은 직후 곧 견도 16심 중 제16 찰나부터 아라한과를 얻기 직전 곧 금강유정(金剛喩定)의 단계를 포함한다. 각각 단계에서 번뇌를 끊는 무간도와 끊어진 번뇌를 확인하는 해탈도로 구성되어 있다. 견도위(見道位)에서 온갖 지적(智的)인 미혹에서 벗어나고, 다음에 정(情)·의(意)로부터 일어나는 온갖 번뇌의 속박을 벗어나려는 수행을 쌓는 기간으로 소승에서는 사향(四向) 사과(四果) 중에서 일래향(一來向)·일래과(一來果)·불환향(不還向)·불환과·아라한향(阿羅漢向)의 기간이다. 대승에서는 견도는 초지에 해당하고 제2지부터 제10지까지의 수행기간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