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고려대장경

본문

한자1
[高麗大藏經]
한자2
뜻(설명)
일명 팔만대장경. 합천 해인사에 보관된 대장경판. 고려 현종 때 거란병(契丹兵)을 물리치려고 새겼던 고려초조본(高麗初雕本) 대장경 1,076부 5,048권을 부인사(符仁寺)에 보관하였던 것이 1232년(고종 19) 몽골의 침입으로 불탔다. 이에 고종은 몽골 군대를 물리치기 위하여 강화(江華)에 대장도감(大藏都監) 본사(本司), 진주와 남해 등지에 분사(分司)를 두고, 1236년(고종 23)에 시작하여 1251년(고종 38)까지 16년 만에 완성한 것이 고려판 재조(再彫) 대장경으로서 1,511부 6,802권 8,1258판(板)이다. 처음 강화에 판당(板堂)을 짓고 봉장하였다가 얼마 안 되어 강화의 선원사(禪源寺)로 옮겼다. 1398년(태조 7) 서울 지천사(支天寺)에 임시로 옮겼다가 다시 해인사로 옮겼다. 경판의 크기는 세로 8치, 가로 2자 3치, 두께 1치 2~3푼이다. 두 끝에 뒤틀리지 않게 각목(角木)을 붙이고, 네 귀에 구리로 장식하고 전면(全面)에 칠을 발랐다. 판면(板面)은 위아래에 줄을 치고, 1면 23항, 1항 14자로 양면에 새겼으며, 판의 한 끝에 경 이름, 권 수, 장 수, 천자문으로 함호(函號)를 새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