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승가예의문

본문

한자1
[僧家禮儀文]
한자2
뜻(설명)
1권 1책. 조선시대 허백명조(虛白明照, 1593~ 1661)가 승가의 다비법을 정리한 의례집. 목판본. 구성은 「명정서규(名旌書規)」·「상례존제절차(喪禮尊祭節次)」·「발인시행입규(發引時行立規)」·「오방불청서규(五方佛請書規)」·「무상계게(無常戒偈)」·「쇄골법(碎骨法)」·「승상복도(僧喪服圖)」· 「송장시금단규(送葬時禁斷規) 등으로 되어 있다. 「명정서규」에서는 승가라 하더라도 대종사(大宗師)·염불인(念佛人)·판사인(判事人)·학도인(學道人)·평상인(平常人) 등에 따라 각각 명정을 다르게 쓰는 서식을 제시하였다. 「상례존제절차」에서는 상례를 모시는 절차를 설명하였다. 「송장시금단규」에서는 상례에 참여하여 밥을 먹거나 돈을 받는 등 불제자답지 않은 행위를 지적하였다. 그리고 상가에는 『금강경』과 『보현행원품』, 다과와 떡을 가지고 가서 영혼을 위로하고 독경하여 망자를 좋은 곳으로 천도할 것을 강조하였다. 전체적으로 『석문가례초』와 『석문상의초』 와 내용이 같다. 경남 양산 영축산 통도사에서 1670년(현종 11)에 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