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승무

본문

한자1
[僧舞]
한자2
뜻(설명)
승복을 입고 추는 춤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춤 가운데 하나. 승무는 흔히 무복(舞服) 때문에 중춤이라고도 하지만 불교 의식에서 승려가 추는 춤과 다르다. 탈놀음 중에서 노장춤과 파계승의 번뇌에서 비롯된 춤이라는 설 중 어느 것이 정확한지 알 수 없으나, 1910년대 기방에서 발전되었다고 한다. 춤의 형태는 의식성이나 종교성·생산성·극성·놀이성이 전혀 담겨 있지 않은 독무(獨舞)로, 춤사위가 살풀이춤과 유사함을 지니고 있어 기녀들에 의해 예술적인 춤의 형식이 갖추어졌다고 보인다. 승무는 흰(검은) 장삼에 붉은 가사를 걸치고 흰 고깔을 착용한다. 승무는 염불·도드리·타령·굿거리·자진모리 등 장단의 변화에 따라 춤을 추는데, 장삼 소매를 뿌리는 동작이나 장삼 자락을 휘날리게 하는 팔 동작은 춤 공간의 백미를 보여준다. 반주 악기로는 피리, 대금, 해금, 장구, 북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