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사유범천소문경
본문
한자1
[勝思惟梵天所問經]
한자2
ⓢ
Brahmaviśeṣacintīparipṛcchāsūtra
ⓟ
ⓣ
뜻(설명)
6권. K144, T587. 북위(北魏)시대에 보리유지(菩提流支)가 한역하였다. 줄여서 『승사유경(勝思惟經)』이라고 한다. 평등·불이(不二)의 여러 법을 설한 경전으로, 『유마경(維摩經)』과 유사한 부분이 많다. 대승 초기의 경전에 해당하며, 반야부 경전과 『법화경』 사이에 성립되었다고 한다. 끝부분에 있는 기록에 의하면, 이 경전은 그 내용에 따라 평등섭일체법(平等攝一切法), 장엄일체불법(莊嚴一切佛法), 승사유범천소문, 혹은 문수사리논의(文殊師利論議)라고도 부른다. 다른 두 이역본이 모두 18품으로 구성된 데 반해 이 경은 품이 나누어져 있지 않다. 주석서로는 세친(世親)의 『승사유범천소문경론(勝思惟梵天所問經論)』 4권이 있으며, 이역본으로 『사익범천소문경(思益梵天所問經)』, 『지심범천소문경(持心梵天所問經)』 등이 있다. ⇨ 지심범천소문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