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승형

본문

한자1
[承逈]
한자2
뜻(설명)
(1180~1231) 고려 중기 승려. 자는 영회(永廻)이다. 속성은 신(申)씨이며, 상낙 산양(상주에 딸린 고을) 사람이다. 7세에 운문의 연실(淵實)에게 의지하였다가 13세에 희양산 봉암사의 동순(洞純)을 찾아가 출가하였다. 이듬해에 금산사 계단(戒壇)에서 구족계를 받고, 이 해 가을에 광명사 선불장(選佛場)에서 상상품(上上品)에 합격하였다. 조계산 보소국사(普炤國師)에게 법요(法要)를 묻고, 오대산에 가서 문수보살의 등상에 예배하여 명감(冥感)을 얻었다. 이후 청평산에서 진락공(眞樂公)의 유적을 탐방, 문수사기(文殊寺記)를 보고 느낀 바 있어 『능엄경(楞嚴經)』을 열람하였다. 1208년(희종 4) 유점사에 거주하였고, 1210년(희종 6) 서울에 나가 선풍(禪風)을 크게 떨쳤다. 1213년(강종 2) 삼중대사(三重大師)가 되고, 1214년(고종 1) 선사(禪師)로 승진했으며, 이듬해에 대선사(大禪師)가 되어 청하 보경사에 머물렀다. 고종 18년 9월 공산 염불사에서 세수 51세, 법랍 24세로 입적하였다. 국사(國師)로 추증(追贈)되었고, 시호는 원구(圓具)이다. 이공로(李公老)가 지은 비가 염불사(念佛寺)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