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본문
한자1
[時]
한자2
ⓢ
ⓟ
ⓣ
뜻(설명)
1) kāla. 유식(唯識)에서 24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중 하나. 모든 존재가 삼세(과거·현재·미래)의 시간적 차별을 갖게 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승론외도(勝論外道)나 시론(時論)과 같이 시(時)의 실존을 주장하지 않고 방편으로 세운다. 극한(剋限)의 뜻으로 만유 제법이 생멸 상속하여 단절하지 않는 모양의 위에 가(假)로 이름한 분위(分位)이다. 2) 인도에서는 예로부터 1년을 3기(期)로 나누는데, 열시(熱時: 1월 16일~5월15일), 우시(雨時: 5월 16일~9월 15일), 한시(寒時: 9월 16일~1월 15일)를 일컫는다. 이것을 열제(熱際)·우제(雨際)·한제(寒際)라고도 하며, 월(月)과 일(日)의 날짜를 배당하는 것에 있어서는 이설이 있다. 3) 조(朝)·석(夕)을 2시라고 하고, 또 가라시(伽羅時)와 삼마야시(三摩耶時, 혹은 三昧耶時)를 2시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