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해탈
본문
한자1
[時解脫]
한자2
ⓢ
ⓟ
ⓣ
뜻(설명)
↔ 불시해탈(不時解脫). 대시해탈(待時解脫)·시애심해탈(時愛心解脫)·시심해탈(時心解脫) 등이라고도 한다. 6종 아라한 가운데 앞의 다섯에 해당하는 퇴법(退法)·사법(思法)·호법(護法)·안주법(安住法)·감달법(堪達法)을 가리킨다. 제6의 부동법(不動法)에 비교하면 성품이 둔근(鈍根)이어서 승연(勝緣)의 시기를 만나지 못하면 멸진정(滅盡定)에 들어가지 못하므로 대시(待時)라고 하고, 그 마음은 번뇌장(煩惱障)에서 벗어났으므로 해탈이라고 한다.